사업목적
시 · 군 · 구 지역 내 특화자원(대구, 경북: 한방자원)을 활용한 제품개발과 개발제품의 사업화지원으로 부가가치 창출을 통한 지역기업의 매출신장과 일자리 창출
지원내용
지역 내 특화자원(대구,경북: 한방자원)을 활용하는 제품의 고부가가치 R&D(기술개발) 및 비 R&D(기술지원, 사업화지원) 통합 지원
과제명
한방소재 융복합 기능성 라이프케어 제품 상용화 사업
과제내용
한방소재에 기반한 섬유•화장품•식품 융복합 기능성 라이프케어 제품 상용화 지원
한방자원의 특성
· 천연 소재로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음
· 다양한 한약제재의 특성은 다품종 소량생산이 가능함
· 현대의학의 대체 산업으로 해외시장 수출 판로 개척이 용이
· 한방자원은 화장품, 섬유, 식품 등 다양한 산업과 융복합이 용이
한방자원의 지역연계성
· 현존 最古 한약재 유통시장이 있어 역사적 배경이 강함
· 한방자원을 지속적 지역사업으로 성장시키고 있음
· 웰빙열풍으로 인한 한방자원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높음
한방자원 융복합산업육성필요성
· 글로벌한 고령화로 라이프케어에 대한 수요 급증
· 웰니스•시니어산업의 성장과 천연소재 제품에 대한 관심증대
· 한방제품 기술 융복합으로 고부가가치 창출 및 글로벌화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필요
지역 한방 기능성 자원을 활용한 라이프케어 제품의 고부가가치 창출
특화품목 개발 및 특화산업 육성을 고부가가치 특화 품목 개발 및 생산을 통한 유망기업 육성 특화 품목 산업화 및 시장 개척을 통한 신수요 창출
1차년도
위한 연계 인프라 조성2차년도
3차년도